본문 바로가기

투자/매수매도일기

텔라닥(Teladoc, TDOC) 2022년 1분기 실적발표, Goodwill impairment, 추가매수

Teladoc health, Inc


2022년 4월 29일 원격의료의 점유율 1위로 유명한 나스닥 상장사인 텔라닥(TDOC)를 추가 매수했습니다.
텔라닥은 2022년 1분기 실적 발표 후 약 40% 정도 급락 중인데요,
그 이유로 이번 실적 발표에서 약 66억 7천만 달러의 순손실(Net Income from Continuing & Discontinued Operation)을 기록한 부분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번 순손실은 전년 동기(2억 달러) 대비 33배, 직전 분기(1천만 달러) 대비 660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DOC를 추가 매수한 이유는 크게
1. 이번 순손실의 대부분이
리봉고 인수비용이 과하게 책정된 것에 따른 영업권 손상(goodwill impairment)이라는 일회성 비용이라는 점
2. 영업권 손상을 제외한 실적은 전분기 대비 개선되었다는 점
3. 이번 손실이 제게는 원격의료가 인류의 시간 절약과 편의성 증대에 기여할 것이라는 생각에 바뀔 근거가 되지 못한다는 점
세 가지입니다.

그렇다면 텔라닥에 대해 아주 간단히 알아보고 이번 분기 66억 달러의 순손실로 기록된 영업권 손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GOOGLE

미국의 원격의료 대장주라고 알려져 있는 텔라닥은 자신들을 Virtual Care & Telehealth Solutions 라고 소개합니다.

가상현실을 통한 CARE(보살핌)과 원격보건(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행해지는 진료, 문진, 교육) 솔루션을 제공하는 텔라닥은, 감기와 같은 일상적인 질병에 대한 단발성 진료도 제공하지만 얼핏 'CARE, 보살핌'이라는 단어에서도 느껴지듯 장기적이고 정기적인 의료서비스를 중점 제공합니다.

현재 (미국의 입장에서) 해외 매출도 증가하고 있지만 대개 미국인을 대상하고 있고 대표적으로 당뇨, 성인병, 정신건강과 같은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한 의료서비를 중점적으로 제공하고자 노력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런 텔라닥이 이번 실적 발표 후 40% 넘게 급락한 배경으로 goodwill impairment(영업권 손상)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TDOC, 2022년 5월 12일, YAHOO FINANCE

TDOC REPORT, SEC

위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된 텔라닥의 2022년 1분기 보고서의 일부입니다.
2, 3번째 문단을 보면 goodwill impairment(영업권 손상)이라는 부분에서 66억 달러의 순손실이 기록되어 전분기 대비 33배에 달하는 순손실이 기록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DOC earings call

이에 대해 텔라닥의 경영진은 어닝 콜에서 위와 같이 이번 goodwill impairment 이유로
- 텔라닥의 주가 하락(시가총액이 시장에서 평가된 기업가치라는 측면에서 볼 때)
- 시장의 높아진 할인율,
- 디지털 헬스케어 부분에 대한 멀티플 감소,
- 하향된 향후 가이던스 등을 거론했습니다.


DIve brief와 같은 채널에 따르면 2020년 말 Livongo라는 만성질환에 특화된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업체를 18.3억 달러에 인수했는데, 결과적으로 해당 인수비용이 너무 과하게 책정된 것을 텔라닥이 인정하고 해당 부분을 Goodwill impairment라는 항복으로 상각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번 손실처리는 위 SEC에 보고된 것과 같이 Non-cash인데요.
이번 분기 goodwill impairment는 텔라닥에게 현금흐름을 수반한 실체가 있는 큰 손실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 지난 분기 70달러 부근의 텔라닥과 현재 30달러 부근의 텔라닥은 그 자체로는 변화한게 없습니다.


물론, 텔라닥 주식 매도자의 입장에서는
매도의 이유를 단순히 거대한 분기 순손실이라는 숫자뿐만 아니라 이번 분기 실적 발표 이전의 텔라닥의 시가총액이 거품이었고 그 거품은 경영진의 이번 영업권 손상(무형자산 손상)으로 밝혀졌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현재 하락된 주가가 거품이 꺼진 것을 반영한 것이라면 현재 주가에서 매수/매도 어느 포지션이 이익을 가져올지는 생각해봐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